기술/기술, 경제

소리 차단 방음 기술에 관하여 (소음 반사, 차단, 층간소음)

이 시대의 정보술사 2022. 6. 16. 21:52
728x90
반응형

쿵! 쿵! 쿵!이라는 단어를 보면 어떤 생각이 드나요?

저는 층간소음이 생각이 납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인 아파트, 복합주거지인만큼

소리가 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런 쿵쾅거리는 소리가 듣기에 좋다는 것은 아니지요.

 

 

우리가 거주지에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면서 겪을 수 있는 층간소음의 종류에는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소리, 피아노 소리, 리코더 소리, 혹은 싸우거나 할 때 들리는 큰 말소리

공사드릴 박는 소리 등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이러한 소음들을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요?

즉, 방음 기능을 하려면 어떤 것이 이뤄어져야할까요?

오늘은 방음 기능 또는 방음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사람들의 이동이 많은 요즘 같은 시대에는 층간 소음뿐만 아니라 저녁 차가 다니는 소음, 

저녁에 누군가가 말하는 소음, 또는 옆방 소음을 막기 위해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차가 많이 다니는 곳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 방법을 사용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것은 H형강입니다. 하지만 H형광은 무게가 무겁고 무거워지면 그만큼 공사가 

힘들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H형광을 대체할 수 있는 트러스 구조의 단단하고 가벼운 재료인 강관을 사용합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소음을 줄이는 혹은 소리를 막는 방음 기능을 위해 방음판을 설치하는데

방음판은 '흡음판'과 '반사판'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흡음판: 소음을 흡수하는 판

반사판: 소음을 반사하는 판

 

소음을 줄이기 위해 이러한 방음판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또한 일상 속 독서실 혹은 개인 방이 있는 카페에서 가끔씩 보이는 방음부스의 재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로 흡음재와 차음재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흡음재: 소음을 말 그대로 흡수하는 소재

차음재: 소음을 말 그대로 차단하는 소재

 

보통 이 두 가지 중 한 가지 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닌 차음재위에 흡음재를 덧붙여 소리의 파장을

반사시키고 상쇄, 차단시켜 소음을 차단시킨다고 합니다. 

 

그럼 과연 계속해서 등장하는 흡음재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흡음재는 그렇게 구조가 복잡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주변에서 봤을지도 모릅니다.

가끔 나무 소재를 사용하여 만들기도 하지만 화재상황에도 대비를 해야 하기 때문에 잘 안 쓰이고

배를 포장하는 하얀색 스펀지와 같은 스펀지 재질을 사용합니다.

 

 

구조를 보면 오르락내리락 모양이 수평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더 꾸불꾸불할수록 그만큼 소리가 잘 가둬지기 때문에 흡음의 효과가 커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천이나, 섬유소재, 매트 같은 소재도 사용합니다.

 

 

그러면 차음재는 어떤 소재를 사용할까요?   

 

일반적으로 차음재는 밀도가 높은 재질을 사용합니다.

밀도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내부가 빽빽하게 밀집되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차음재 소재로는 아스팔트, 고무, 실리콘 등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흡음재와는 달리 소리를 튕겨내기 때문에 소음을 막는 방음에 있어서 더 좋은

효과를 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희가 사는 거주지도 층간의 발생하는 소음을 막기 위해 이러한 방음 소재 처리를 하겠지만 

방음 소재의 분자 사이의 간격 공간을 아예 없애거나 소리를 반사시켜 완전히 차단하기에는 힘들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사람이 걷는 발걸음에도 중력에 의한 소리 또는 소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층간소음은

안타깝게도 줄일 수는 있어도 완전히 없애기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층간소음으로 서로 감정 상하지 않게 서로 조심해 나가는 방법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혹은 소음 방지를

위해 슬리퍼를 착용하고 다니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자 에티켓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